2025 언바운드 기획
형상 기억
강주형, 김보경, 이채민
2025년 6월 11일 (수) - 7월 6일 (일)
우리가 인지하고 저장하는 대부분의 감각적 경험은 고정되지 않은 채 흐르며 소멸한다. 감정, 사고, 환경, 움직임과 같은 현상들은 명확한 구조를 갖기 이전에 사라지고, 그 잔상은 흔히 형태를 갖추지 못한 채 흩어진다. <형상 기억>은 이러한 비가시적 흐름들이 일정한 구조로 포착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형상 기억>은 기억, 감정, 생명성과 같은 비물질적 요소들이 시각예술의 매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화면 위에 가시화되는지를 다룬다. 세 명의 작가—강주형, 이채민, 김보경—은 각기 상이한 조형 언어와 매체를 통해, 고정되지 않는 내면의 흐름을 물질화하려는 전략을 제시한다. 이들은 형상의 정합성을 전제로 하지 않고, 오히려 감각적 순간을 고정하려는 시도 자체를 작업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강주형의 작업은 디지털 애니메이션이라는 시간 기반 매체를 활용하여 기억의 비선형적 구조를 가시화한다. 반복과 중첩, 상호 충돌하는 사물들의 관계는 전통적 회화의 구도를 해체하며, 기억이 생성되고 소실되는 메커니즘 자체를 모방한다. 그의 작업은 특정 서사를 전달하기보다는, 기억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시각적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비서사적이며 분석적이다.
김보경은 생태적 유기체로서의 화면을 구성한다. 그의 작업은 자연물의 형상보다 그것들이 내포하는 시간성과 정서적 흐름에 주목한다. 반복적 색면과 층위적 구조는 자연의 순환성, 생명의 지속성, 감정의 퇴적을 시각적으로 전환하며, 감각의 휘발성을 억제하고 이를 정지된 이미지 안에 조직한다. 그의 회화는 감정적이기보다는 구조적이고 조형적이며, 자연과 인간 감각의 통합적 구조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채민은 감정 상태의 역동성을 회화적 물성 안에 고정시키려는 시도를 한다.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화면 구성은 감정의 미세한 변화와 운동성을 표현하는 동시에, 물감과 붓의 운동 자체를 기록한다. 이는 감정을 단순히 표현하거나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회화의 물질성과 감정의 물리적 진동이 만나는 지점을 실험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세 작가의 작업은 '사라지기 쉬운 것들'을 고정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그 방법은 서사적 재현이 아니라, 감각의 기호화와 시간의 구조화에 가깝다. <형상 기억>은 심리학적 이론에서 차용된 것으로, 시각적 표상을 통해 기억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전시는 ‘형상 기억’을 예술적 실천으로 확장하며, 감각의 휘발성과 기억의 불안정성에 대응하는 하나의 시각적 방법론으로서의 형상화를 탐구한다. 다시 말해, 본 전시는 감각을 저장하고 기억을 시각화하며, 비물질적 흐름을 조형 언어로 번역하는 시도의 집합이다.
경계공간 < Liminoid >
2025년 4월 30일 (수) - 6월 1일 (일)
이안진, 채민정
<경계공간>은 고정된 형식과 일관된 이야기를 벗어나 비논리와 유기적 형태가 얽히고 설킨 사유의 공간이다. 이 곳은 현실과 상상, 주체와 객체, 자아와 타자의 경계가 흐려지는 역동의 공간이며, 이안진과 채민정은 이 경계공간에서 의식과 무의식이 서로 교차하고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안진은 물질적 공간을 넘어서 정신적-판타지적 풍경을 구현하는 시도를 한다. 작가의 새로운 세계에서는 현실 세계에서 부정당하는 불완전하고 결핍된 존재들이 등장한다. 그 존재들은 작가의 공간에서 하나의 고정된 단일 체계가 아닌 무수히 뻗어 나가는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원인과 결과가 없이 서로 연대하고 덩치를 키우면서 마치 그들의 세계가 실제 현실인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는 관객의 감각을 교란시키는 동시에, ‘현실’이라는 개념의 허약함을 은연중에 드러내며, 경계 공간에서 관객이 능동적인 관찰자로서 유기적 리듬을 따라 경계를 넘고 존재와 존재 사이를 유영할 수 있도록 한다.
채민정은 인간의 내면에서 끊임없이 증식하는 생각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작업을 한다. 작가에게 생각의 움직임이란 선형적 흐름이 아닌 스스로 분열하고 증식하기도 하는 유기적인 리좀(rhizome)으로, 퍼져 나가는 의식의 흐름이 끊임없이 뒤얽히고 뭉쳐져 중심점 없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녀의 작품이 지닌 생동하듯 울렁거리는 표면은 마치 유기 세포가 무한히 증식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면과 사고의 폭발적인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연의 빛을 따르지 않는 의식적인 표면의 그라데이션은 작품이 놓인 전시 공간을 경계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경계공간>은 이러한 의식과 사고의 흐름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의식과 사고는 어떠한 구심점이나 중심이 없이 서로 침투하고 부딪히며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본 전시는 시작과 끝, 위계와 선형을 거부하며 각자의 방식으로 수없이 퍼져 나가는 리좀적 세계관을 통해 현실과 허구, 자아와 타자, 물질과 정신의 틈새에서 서로를 물들이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들에 대한 기록이다.
내가 빚은 신화 <Myth I Wove>
2025. 3.12(수) - 4.6(일)
김하림, 문현지, 한보연
<내가 빚은 신화>는 김하림, 문현지, 그리고 한보연이 참여하는 3인전으로, 막연히 먼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신화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들이 스스로가 현 시대에 만들어가는 자신만의 신화에 대한 전시이다. 신화란 언제부터 만들어지고 이어져오던 것일까. 신화는 누군가에게는 먼 과거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영웅 서사적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본 전시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보다 개인적일 수 있는 신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믿으며, 무엇을 남길 것인가? 한 개인의 신화는 기억과 감정, 믿음과 의식이 서로 얽히고 설키고 또한 반복되며 오랜 시간동안 형성되고 쌓여간다. 인간은 특정한 사건을 경험하고, 그것을 해석하고, 다시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며 살아간다. 이는 기억이라는 시스템이 단순히 과거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어떠한 일련의 과정으로 과거를 새롭게 구성하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장치이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신화를 단순한 전설이나 이야기로 보지 않고, 사회적 구조와 개인의 믿음이 결합된 기호적 체계로 해석했다. 따라서 신화는 과거의 단순한 유산이 아니라, 현재의 삶과 신념 속에서 끊임없이 빚어지고 변화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김하림은 수행적 행위를 통해 감정의 흔적을 형상화하고, 문현지는 사라지는 것과 남겨지는 것 사이에서 시간의 흔적을 기록하며, 한보연은 스스로의 믿음을 창조해 신이라는 개념을 재구성한다. 본 전시에서 이들은 과거의 신화들이 무수히 남기고 간 이야기를 답습하지 않고, 현재 안에서 끊임없이 변형되고 빚어지는 새로운 신화의 형태를 다양하게 보여준다.
오늘의 그릇
도자판매전
2025. 2. 15 (토) -3. 2(일)
김민지, 김소연, 김유라, 송현송, 신승규, 이건호, 한수영
오늘의 그릇, 도자판매전에는 7명의 도예 작가님과 함께합니다. 흙으로, 손으로 빚어낸 생활자기를 살펴볼 수 있는 오늘의 그릇 전시는 흙의 물성과 유약, 공예적 태도로 접근하는 오늘의 도공들의 작업과 공예적 시선을 엿볼 수 있습니다.